부산행 (2016)
이 영화를 보면서 두번 크게 놀랐다. 첫번째는 애미메이션 작품으로 접해왔던 연상호씨가 감독이었다는 사실이고, 두번째는 작품의 오락성이었다.
근래에 내가 본 한국 영화 중 가장 재미있게 본 작품 중의 하나였다.
펀드매니저 '개미핥기' 석우는 아내와 헤어진후 어린 딸 수안과 산다.
일상에 지친 석우, 그런 아빠와 소원한 수안, 수안은 부산에 있는 엄마에게 가려고 한다.
수안을 부산에 데려가는 석우는 부산행 KTX 열차를 탄다.
기이한 좀비바이러스가 진양에서 동물을 거쳐 인간에게 전파된다.
열차안의 승객도, 열차밖에도 바이러스에 감염된 좀비의 공격이 시작되고, 석우와 열차안의 정상인들은 생존을 위한 사투를 시작한다.
영화는 단 두 사람만의 생존자로 마무리된다.
임산부 성경과 수안이다.
속도감과 액션이 외국의 좀비영화보다 헐씬 낮다.
동대구역, 기차를 향해 달려드는 좀비의 습격은 대단했다.
소리에 민감하고, 빛이 없으면 활동이 거의 정지되는 좀비의 특성에 대해서 등장인물의 대응이 어울리지않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속도감은 그걸 따지기 힘들게 만들었고, 그런 류의 비난은 어떤 작품이든지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좀비 영화에서 확실한 개연성의 구성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고 생각된다.
차례차례 희생되는 사람들, 또는 희생을 자초하거나 야기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도 이 정도면 충분히 공감할 만한 수준이다.
좀비의 진행속도가 너무 빠르다고들 하는데, 영화의 도입부를 다시 보기를 바란다.
오락영화가 필요로하는 여러 요소들이 잘 배합된 웰메이드 작품이었다.
감독 : 연상호
출연 : 공유, 마동석, 정유미, 김수안, 김의성, 최우식, 안소희, 최귀화
평점 : ★★★★★